헷갈리는 말 히한하다,히안하다,희한하다

 

헷갈리는 우리 말 히한하다와 히안하다,희한하다


먼저 두 표현 "히한하다"와 "히안하다"는 둘 다 일상에서 자주 잘못 쓰이는 단어입니다.히한하다"는 보통 "희한하다"를 쓰려는 의도의 오타일 것입니다.

"희한하다"는 한국어에서 흔히 쓰이는 말로, 뜻은
특이하고 이상하다,
또는 매우 드물고 신기하다는 의미로 쓰입니다.

간단 예시:
그 사람 말투가 참 희한하네 → 특이하고 조금 이상하다는 의미
이 꽃은 정말 희한하게 생겼네 → 보기 드물고 신기하게 생겼다는 의미


1. 헷갈리는 우리말 문법 공부 며칠-몇일
2. 헷갈리는 한글 문법 공부,간간이-히 
3. 헷갈리는 한글 문법 던-든
4. 헷갈리는 한글 문법 닙니다 
5. 헷갈리는 한글 문법 히/이. 
6. 쉽지만 헷갈리는 말 십시오
7. 헷갈리는 말 공부 습니다와 읍니다
8. 헷갈리는 외국어 콘텐츠와 컨텐츠 
9. 히한하다,히안하다,희한하다


헷갈리는 말 히한하다,히안하다,희한하다
헷갈리는 말 히한하다,히안하다,희한하다


📘 희한하다 [形容詞]

뜻: 매우 드물고 신기하다. 이상하고 특이하다.


희한 - 稀罕 "희한"은 한자로 "稀罕"으로 표기합니다. "희한하다"의 어근이 되는 한자로, "드물다"와 "희귀하다"라는 뜻이 있습니다. 

예문으로 이해하기:

"그 사람 행동이 희한하네."
→ 평범하지 않고 이상하거나 특이하다는 뜻.

"희한한 일이 다 있네!"
→ 정말 신기하거나 말도 안 되는 일이 벌어졌다는 의미.

"이거 진짜 희한하게 생겼다."
→ 모양이나 생김새가 매우 특이하거나 드물다는 뜻.


🔍 유의어/비슷한말

이상하다,
특이하다,
신기하다.


✅ 1. 올바른 표현: 희한하다

▶ 의미 (국립국어원 기준):


보통과 아주 다르게 특이하다. 매우 이상하거나 드물다.


▶ 품사: 형용사
▶ 유의어: 별나다, 특이하다, 드물다
▶ 사용 예:

그런 희한한 일도 다 있네!
그 사람은 옷 입는 스타일이 희한해.

이거 정말 희한하게 생겼다.
요즘 날씨가 희한하다, 봄인데 눈이 와.
저건 참 희한한 광경이네.

2. 틀린 표현: 히안하다

▶ 설명:

"히안하다"는 잘못된 표기입니다. 표준어가 아니며, ‘희한하다’를 발음 그대로 썼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왜 틀렸는가?

‘희한하다’는 [히한하다]로 발음되므로, 소리 나는 대로 적다 보면 ‘히안하다’라고 잘못 쓰기 쉽습니다.하지만 국어에서는 의미와 어원, 한자어를 기준으로 **‘희한하다(稀罕--)’**라고 써야 맞습니다.


💡 기억 팁:

희한하다 = 희귀(드물다) + 한하다(경우)
→ 드물고 이상한 경우를 뜻함.

한자어 "稀罕"에서 나온 말이기 때문에 ‘희’와 ‘한’은 반드시 살아 있어야 합니다!

#틀리기쉬운말 #헷갈리는말 #히한하다와 #히안하다 #희한하다 #희한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