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지만 헷갈리는 한글 문법 던-든

쉽지만 헷갈리는 한글 문법 '던'과 '든'

'던'과 '든'의 구별 과 문법 설명 ,예문

한국어에서 비슷하게 들리지만 문법적으로 다른 ‘-던’과 ‘-든’은 의미와 쓰임이 명확히 구별됩니다. 아래에서 각각의 의미, 문법 설명, 그리고 예문을 함께 정리해 봅니다.


쉽지만 헷갈리는 우리말 문법 공부 링크

1. 헷갈리는 우리말 문법 공부 며칠-몇일
2. 헷갈리는 한글 문법 공부,간간이-히 
3. 헷갈리는 한글 문법 던-든
4. 헷갈리는 한글 문법 닙니다 
5. 헷갈리는 한글 문법 히/이. 
6. 쉽지만 헷갈리는 말 십시오
7. 헷갈리는 말 공부 습니다와 읍니다
8. 헷갈리는 외국어 콘텐츠와 컨텐츠 
9. 히한하다,히안하다,희한하다


🔹 1. ‘-던’

✔️ 문법 설명:

‘-던’은 과거에 미완의 경험이나 회상을 나타내는 관형사형 어미입니다. 동작이나 상태가 과거에 있었던 일을 떠올리며 현재에 말할 때 사용합니다.

과거에 하던 행위/상태를 회상하거나
과거에 반복되었던 일을 나타낼 때 사용

동사, 형용사 뒤에 붙음


✔️ 예문:

어렸을 때 자주 가던 가게에 다시 가 봤어.
→ 과거에 자주 갔던 가게를 회상하는 말.

그때 먹던 라면이 생각나.
→ 과거에 먹었던 라면이 지금 생각남.


입던 옷이 작아졌어.
→ 과거에 입었던 옷.


🔹 2. ‘-든’

✔️ 문법 설명:

‘-든’은 선택이나 가정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입니다. 주로 "무엇이든", "누구든", "어디든", "언제든" 같이 선택의 폭을 넓힐 때 사용됩니다.

또는 “~하든(지)” 형태로, 어떤 조건이든 상관없다는 뜻을 나타낼 때도 쓰입니다.


헷갈리는 한글 문법 '던'과 '든'
헷갈리는 한글 문법 '던'과 '든'


✔️ 예문:

뭐든 괜찮아.
→ 무엇이든 상관없음 (선택)

네가 가든 말든 난 상관없어.
→ 네가 가도 안 가도 상관없음 (가정/무관)


어디든 함께 갈게.
→ 장소에 관계없이 어디든.


🔸 비교 정리

항목 -던 -든
의미 과거의 경험/회상 선택/가정/무관
품사 관형사형 어미 연결 어미
예시 내가 입던 옷 뭐든 괜찮아

✅ 연습 퀴즈!

[질문] 다음 문장에서 빈칸에 들어갈 말은 무엇일까요?

어제 읽__ 책, 기억나?

비가 오__ 눈이 오__ 나는 갈 거야.


[정답]

-던 (과거에 읽었던 책을 회상)

-든 -든 (조건 상관없이 갈 것이라는 뜻)


예문 몇개 더

‘-던’과 ‘-든’ 각각 예문을 더 다양하게 보면 이해가 더 쉬워집니다.

🔹 ‘-던’ 예문 (회상/과거 경험)

내가 예전에 살던 동네에 갔어.
→ 과거에 살았던 동네를 말함.

할머니가 만들어 주시던 김치찌개가 그리워.
→ 예전에 자주 해 주셨던 김치찌개를 회상.

그 사람이 하던 말이 생각나.
→ 과거에 그 사람이 했던 말.

비가 오던 날, 너를 만났지.
→ 비가 오고 있던 과거의 특정 순간.

자주 듣던 노래가 라디오에서 나왔어.
→ 예전에 많이 들었던 노래.


🔹 ‘-든’ 예문 (선택/가정/무관)

네가 가든 안 가든 난 갈 거야.
→ 네가 무엇을 선택하든 상관없음.

누구든 도와줄 수 있어.
→ 사람에 관계없이 모두 가능.

어디든 마음 편한 곳으로 가자.
→ 장소 선택에 제한 없음.

하고 싶든 말든 네 선택이야.
→ 하고 싶어도 안 하고 싶어도 상관없음.

지금 시작하든 나중에 시작하든 결과는 같을 거야.
→ 시작 시점이 언제든 상관없다는 의미.


#한글문법 #국문법 #헷갈리는한글 #던 #든 #던과든 #든과던 #헷갈리는한글문법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