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지만 헷갈리는 한글 문법

 남깁니다 와 남김니다 의 차이와 바른 말은 ?


"남깁니다"와"남김니다"는 비슷해 보이지만,

"남깁니다"가 맞는 표현이고, "남김니다"는 틀린 말입니다.


쉽지만 헷갈리는 우리말 문법 공부 링크

1. 헷갈리는 우리말 문법 공부 며칠-몇일
2. 헷갈리는 한글 문법 공부,간간이-히 
3. 헷갈리는 한글 문법 던-든
4. 헷갈리는 한글 문법 닙니다 
5. 헷갈리는 한글 문법 히/이. 
6. 쉽지만 헷갈리는 말 십시오
7. 헷갈리는 말 공부 습니다와 읍니다
8. 헷갈리는 외국어 콘텐츠와 컨텐츠 
9. 히한하다,히안하다,희한하다

🔹 왜 "남깁니다"가 맞을까요?

기본 동사: 남기다

→ ‘무엇을 남기다’에서 ‘기’가 어간이고, 여기에 -ㅂ니다를 붙여서 남깁니다가 됩니다.

남기다 → 남기 + ㅂ니다 → 남깁니다

예문:

이 글을 남깁니다.

음성 메시지를 남깁니다.


🔸 "남김니다"는 왜 틀릴까요?

"남김니다"는 어간을 잘못 바꾼 것이고요.

‘남기다’의 어간은 *남기-*인데, 이를 *남김-*으로 착각하고 만든 오류입니다.


국어 문법상 동사 어간에 맞는 활용형을 써야 하므로 남깁니다가 올바른 것입니다.


쉽지만 헷갈리는 한글 문법
쉽지만 헷갈리는 한글 문법


✅ 정리

표현_맞는 말?_설명 순입니다.

남깁니다_✅ 맞음_동사 ‘남기다’ + ㅂ니다

남김니다_❌ 틀림_잘못된 어간 사용 (‘남김’ 아님) 😊


[질문] 숨깁니다와 숨김니다 도 같은 것인가 ?

[답변] 네, 아주 비슷한 원리네요!

"숨깁니다"가 맞는 표현이고, "숨김니다"는 틀린 표현입니다.


🔹 "숨깁니다"가 맞는 이유

기본 동사: 숨기다

→ 어간: 숨기-

→ 여기에 -ㅂ니다를 붙이면 → 숨깁니다


✅ 같은 문법 예문:

진실을 숨깁니다.

선물을 몰래 숨깁니다.


🔸 "숨김니다"는 왜 틀렸을까요?

숨김이라는 형태는 명사형(예: 숨김 처리)에서는 맞지만,

동사로 활용할 때는 어간이 "숨기-"이기 때문에 "숨김니다"는 잘못된 활용입니다.


✅ 다시 정리하면

표현_맞는 말?_설명 순..

숨깁니다_✅ 맞음_동사 ‘숨기다’ + ㅂ니다

숨김니다_❌ 틀림_어간을 잘못 쓴 경우 (‘숨기-’ 아님)

필요하시면 비슷한 동사들 활용 예도 더 알려드릴게요.

예: 감추다 → 감춥니다 / 닫다 → 닫습니다 등.


예문 몇 가지 더 

"남기다"와 "숨기다"처럼 비슷한 구조를 가진 동사들을 가지고,

올바른 활용 예문을 몇 가지 찾아보면. (틀리기 쉬운 표현도 같이 표시.)


남깁니다, 남김니다 


✅ 1. 남기다 → 남깁니다 (O) / 남김니다 (X)

편지를 한 장 남깁니다.

메시지를 남깁니다.


✅ 2. 숨기다 → 숨깁니다 (O) / 숨김니다 (X)

비밀을 숨깁니다.

감정을 숨깁니다.


✅ 3. 감기다 → 감깁니다 (O) / 감김니다 (X)

(※ '머리를 감다'와는 다른 의미예요. 예: 눈이 감기다)

눈이 저절로 감깁니다.

피곤하면 눈이 감깁니다.


✅ 4. 끊기다 → 끊깁니다 (O) / 끊김니다 (X) (※ '끊다'의 피동형)

전화가 갑자기 끊깁니다.

인터넷이 자주 끊깁니다.


✅ 5. 끼다 → 낍니다 (O) / 낌니다 (X)

(※ 이건 조금 다른 유형인데 자주 틀리는 경우라 같이 소개합니다!)

반지를 손가락에 낍니다.

장갑을 낍니다.


#남깁니다 #남김니다 #틀리기쉬운말 #우리말문법 #한글문법 #끊깁니다 #끊김니다  #낍니다  #낌니다 #남깁니다  #남김니다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