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지만 헷갈리는 한국말 문법 공부, 습니다-읍니다.

쉽지만 헷갈리는 한국말 문법 공부 습니다와 읍니다.

 
헷갈리는 우리말 읍니다와 습니다 차이와 문법 기반 설명,예문 등을 요약합니다.

지금 연세가 좀 있으신 분들은 소위 한글 맞춤법 통일안이라는 것을 공부 한 세대에서 주로 읍니다를 사용합니다. 실제로 그분들은 국어 국문법에서 "읍니다"를 바른 말로 공부하신 분 들입니다.  
현재는 "읍니다"와 "습니다"는 모두 존댓말 종결 어미이지만, 그중 "습니다"만 표준어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읍니다"는 과거에는 쓰였지만, 현재는 비표준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1. 헷갈리는 우리말 문법 공부 며칠-몇일
2. 헷갈리는 한글 문법 공부,간간이-히 
3. 헷갈리는 한글 문법 던-든
4. 헷갈리는 한글 문법 닙니다 
5. 헷갈리는 한글 문법 히/이. 
6. 쉽지만 헷갈리는 말 십시오
7. 헷갈리는 말 공부 습니다와 읍니다
8. 헷갈리는 외국어 콘텐츠와 컨텐츠 
9. 히한하다,히안하다,희한하다



헷갈리는 한국말 문법 공부, 습니다-읍니다.
헷갈리는 한국말 문법 공부, 습니다-읍니다.

✅ 차이 요약

항목⟹습니다⟹ 읍니다

사용 여부
✅ 표준어 (현재 사용)
❌ 비표준어 (옛날 표현)


문법 기반 '습니다'

받침 유무에 따라 형태 변화
현재 사용 가능 O 공식적, 격식체


문법 기반 '읍니다'

받침 유무 구분 없이 사용됨 비문법적
X 비표준, 오류로 간주됨



✅ 문법 기반 설명

1. -습니다 / -ㅂ니다의 사용 원리

존댓말의 서술형 종결어미로, 주로 공식적·격식적인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형태는 어간의 받침 유무에 따라 아래처럼 달라집니다.

받침 O → -습니다

예:
먹다 → 먹습니다
받침 X → -ㅂ니다

예:
가다 → 갑니다

👉 따라서 문법적으로 올바른 형태는 "먹습니다", "갑니다"와 같은 형태입니다.


2. "읍니다"는 왜 틀렸나?

"읍니다"는 예전에는 일부 지역이나 글에서 간혹 보였던 표현이지만,

표준 문법에는 없는 비표준어입니다.

예전에는 "먹읍니다", "하읍니다" 같은 표현도 있었지만,

현재 표준에서는 전부 "먹습니다", "합니다"로 바뀌었습니다.


✅ 예문 비교

〇 올바른 표현 (표준어)
   저는 밥을 먹습니다.

✖ 틀린 표현 (비표준어)
   저는 밥을 먹읍니다. 

〇 학교에 갑니다.
✖ 학교에 가읍니다. 

〇 공부를 합니다.
✖ 공부를 하읍니다. 


✅ 참고 사항

"읍니다"는 문법적 오류로 간주되어, 공문서, 뉴스, 시험 등에서 사용 금지됩니다.
"습니다/ㅂ니다"는 국립국어원에서도 명시된 표준 종결어미입니다.


📚 참고 출처

국립국어원 표준 국어 문법론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국어 교과서 및 관련 문법 참고서



헷갈리는 한국말 문법 공부 습니다와 읍니다
헷갈리는 한국말 문법 공부 습니다와 읍니다

#헷갈리는한국말 #틀리기쉬운말 #습니다읍니다 #습니다 #읍니다 #격식체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