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봄이 다가와서 온갖 풀꽃들이 예쁜 꽃을 피웁니다.
새싹이 돋아올라 무성하게 자란 후에 꽃을 피워도 늦지 않을 만큼 여름은 길고 가을은 한참 남았는데 ,어린 풀이 올라 오자 마자 꽃부터 피우는 것은 왜 인지 모르지만, 풀꽃들은 대개 새싹이 올라 오자 마자 꽃부터 피는 것을 봅니다.
오랫동안 살아 오면서 풀꽃들은 기후가 갑자기 변해서 꽃을 피울 겨를도 없었던 기억이 DNA에 기록되어 있는지 모릅니다.
이런 경험들이 쌓여서 풀꽃은 언제 무슨 일이 일어 날 지 모르니 꽃부터 피우고 열매를 맺는 것이 가장 먼저인 것 같습니다.
길 걷기 나갔다가 풀밭에 온통 자주 색 물감을 부어 놓은것 같이 광대나물 꽃이 핀 것을 봅니다.
![]() |
광대나물(Lamium amplexicaule) 자주색 풀꽃 |
광대나물(Lamium amplexicaule)은 꿀풀과에 속하는 한해 또는 두해 살이 풀로, 봄철 들판이나 밭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입니다.
광대나물(Lamium amplexicaule) 특징
잎: 둥글거나 약간 각진 형태로, 줄기를 감싸듯이 달림.
꽃: 3~5월경 보라색 또는 자주색의 입술 모양 꽃이 피며, 꿀이 많아 벌과 나비가 잘 모임
줄기: 연약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짐
번식: 씨앗을 통해 퍼지며, 생명력이 강해 잡초로 여겨지기도 함
![]() |
광대나물(Lamium amplexicaule) 자주색 풀꽃 |
광대나물(Lamium amplexicaule) 효능 및 활용
약용: 민간에서 이뇨제나 해열제로 활용
식용: 어린잎은 나물로 무쳐 먹거나 국에 넣어 먹을 수 있음
토양 보호: 땅을 덮어 토양 유실을 방지하는 역할
독성이 없지만, 초보자는 식용 시 비슷한 유사종(예: 광대수염)과 혼동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
광대나물(Lamium amplexicaule) 자주색 풀꽃 |
광대나물(학명: Lamium amplexicaule, 문화어: 작은잎광대수염)은 꿀풀과에 속한 두해살이풀입니다.
유라시아 원산인 구귀화식물이며, 한대 지역에서 온대 지역까지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는 잡풀입니다. 한국에서는 전국 각지의 햇빛이 잘 드는 비옥한 땅에서 자라는 흔한 풀꽃입니다.
광대나물(Lamium amplexicaule) 생물 분류
유라시아 원산인 구귀화식물이며, 한대 지역에서 온대 지역까지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는 잡풀입니다. 한국에서는 전국 각지의 햇빛이 잘 드는 비옥한 땅에서 자라는 흔한 풀꽃입니다.
광대나물(Lamium amplexicaule) 생물 분류
계: 식물계
군: 속씨식물군
군: 진정쌍떡잎식물군
군: 국화군
목: 꿀풀목
과: 꿀풀과
속: 광대수염속
종: 광대나물
학명:Lamium amplexicaule L. 1753
![]() |
광대나물(Lamium amplexicaule) 상식 정보.
원산지: 유럽, 서아시아, 북아프리카 지역이 원산지이며, 이후 세계 여러 지역으로 퍼졌습니다. 한국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들꽃 중 하나입니다.
꽃말: "기회" 또는 "화해"입니다. 광대나물은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특성이 있어, 기회를 잘 잡는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토양 보호: 땅을 덮어 토양 유실을 방지하는 역할
독성이 없지만, 초보자는 식용 시 비슷한 유사종(예: 광대수염)과 혼동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풀꽃 #자주색풀꽃 #광대나물 #광대나물꽃 #Lamium-amplexicaule #광대나물효능 #광대나물꽃말 #광대나물원산지
0 댓글
Blog or SN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