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구리 울음 주머니와 큰 소리의 비밀

이미지
Croaking frog with vocal sac( Frog vocal cord) 아침 운동 길에서 만나는 작은 웅덩이의 개구리들이 큰 소리로 울어 대고 있습니다. 요새가 딱 짝 짖기 계절로서 여름 밤 연못가에서 울려 퍼지는 개구리 소리와는 조금 다르지만, 계절이 바뀌면서 들을 수 있는 대표적인 소리 중 하나입니다. 작은 몸집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큰 소리를 낼 수 있을까 생각이 듭니다. 그 과학적인 해답은 ‘울음주머니(또는 울음주머니, vocal sac)’때문에 가능한 것입니다. 개구리 한 마리가 짝을 찾으려고 울어대는 모습을 담아왔습니다. 이 사ㅓ진을 보면서 개구리의 울음 주머니가 어떤 구조로 되어 있으며, 어떻게 작동하고, 왜 그런 기능이 진화했는지 살펴봅니다. 개구리 울음 주머니와 큰 소리의 비밀 개구리 울음 주머니와 큰 소리의 비밀 1. 울음주머니란 무엇인가?

차이브(Chive)와 부추, 쪽파

이미지
차이브(Chive)와 부추, 쪽파 알아 보기. 농작물 키우는 곳을 지나다가 파 꽃 같기도 하고 산 부추 꽃 같기도 한데 좀 더 풍성한 느낌의 자주 색깔의 클로버 꽃 봉우리같이 생겼지만 꽃대가 길게 올라온 꽃을 보고 담아왔습니다. 꽃 이름 찾기에서  차이브(Chive)라는 것을 알고 좀 더 자세히 알아 봅니다. 차이브 간략 차이브(Chive)는 부추와 비슷하게 생긴 식물이미만 , 그 향이 부드럽고 알싸한 맛을 지닌 허브 식물입니다. 학명은 Allium schoenoprasum ( 알리움 스코에노프라숨) 이며, 마늘, 양파, 파 등의 식물과 같은 백합과에 속하는 식물이네요. 주로 가늘고 긴 녹색 잎을 식용으로 사용하며, 서양 요리에서는 고명이나 향신 채소로 널리 쓰입니다. 잎은 날 것으로 잘게 썰어 샐러드, 수프, 감자 요리, 오믈렛 등에 뿌려 풍미를 더하는 데 사용됩니다. 차이브(chive)는 부추속의 여러해살이 풀로서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에서 자생합니다.한국에서 골파 라 부르기도 한답니다. 차이브,부추,쪽파 세가지 식물의 학명은 동일한    Allium schoenoprasum 이니 자라는 곳에 따라서 조금씩 변형되어도 같은 식물이었나 봅니다. 차이브는 고유한 향을 지니고 있지만 마늘이나 양파보다 훨씬 순한 편이라서 다양한 요리에 부담 없이 활용할 수 있는 식용 식물입니다. 식물의 성분의 특성은 , 소화를 돕고 항산화 성분이 풍부합니다. 건강 식재료로 주목받는 식물이기도 하네요. 예쁜 꽃 자체도 식용이 가능하며, 보라색의 작은 꽃송이는 장식용으로 쓰이기도 합니다. 차이브,Chive, 부추, 쪽파 꽃 차이브(Chive), 부추, 쪽파 다른점.

팥배나무(Korean Mountain Ash)의 모든 것

이미지
팥배나무(Korean Mountain Ash)의 개요 팥배나무의 영어 이름은 Korean Mountain Ash입니다. 학명은 Sorbus alnifolia (Siebold & Zucc.) C.Koch이며, 다른 이름으로는 wild pear tree로도 불리기도 합니다.  팥배나무(Sorbus alnifolia)는 장미과(Rosaceae) 마가목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으로, 한국의 산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나무입니다. 이름은 열매가 팥을 닮고, 흰 꽃이 배나무 꽃과 비슷하다 하여 붙여졌습니다. 높이는 10~20m까지 자라며, 나무껍질은 회갈색 또는 흑갈색으로 매끄럽고, 어린 가지는 자줏빛을 띠는 특징이 있습니다.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으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겹톱니가 있습니다. 봄에는 하얀 꽃이 피고, 가을에는 붉은 열매가 열립니다. 팥배나무 열매는 빈혈과 허약 체질 치료, 이뇨, 해열 등에 약으로 쓰이며, 나무 껍질은 염료로도 사용되며 목질이 단단해서 좋은 목재로 쓰입니다.  팥배나무,Korean Mountain Ash,팥배나무 정보,팥배나무꽃 팥배나무의  원산지

브라보 줄루 Bravo Zulu

이미지
브라보 줄루 Bravo Zulu 미국 해군성 장관 존 펠란(John Phelan)이 남긴 브라보 줄루, 영어 Bravo Zulu가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미국은 최근 조선업이 쇠퇴하면서 막강한 미 해군의 미래에 대한 돌파구로 조선 강국인 한국과 협력 하려고 합니다. 그간 선박 건조 능력이 떨어진 현황을 타개하려는 트럼프의 고민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미국 해군성 장관 존 펠란(John Phelan)이 방한해서 HD현대 울산 조선소를 찾았는데 한국 조선의 막강한 능력을 본 현장에서  "브라보 줄루"를 외쳤습니다. 이 말은 다소 은어 쪽에 가깝지만 나토 규격으로 '아주 잘했어!'라는 뜻인데 한국의 조선 능력에 감탄사를 표현한 정도로 보면 되겠습니다. 이 기회에 Bravo Zulu(브라보 줄루)에 대해 자세히 알아 보겠습니다. 브라보 줄루 ,Bravo Zulu,수신호 이해를 돕기위한 참고 이미지이며 실제 수 신호가 아닙니다. 군대에서 통신병과에 근무 한 분은 잘 알겠지만,NATO기준으로 해군 음성 알파벳 (Phonetic Alphabet)의 표현입니다. 군대에서 Bravo Zulu는 무슨 뜻으로 사용 되는지 알아 봅니다. "Bravo Zulu"는 군대, 특히 해군에서 사용하는 표현으로, "Well done(잘했다)"라는 뜻입니다.  Bravo Zulu 원어/어원

공조팝나무(共小泡木 Spiraea cantoniensis)꽃과 개략(槪略)

이미지
공조팝나무(共小泡木 Spiraea cantoniensis)개요와 꽃 봄의 끝자락에서 초여름 사이에 거리의 울타리나 공원에서 눈처럼 하얀 꽃이 흐드러진 꽃 덤불을 이루며 피는 늘어진 나무입니다. 대부분 공조팝나무일 것입니다. 작은 꽃들이 모여 피는 꽃으로 크고 화려한 모습과는 멀지만 , 늘어진 가지마다 빼곡히 핀 작은 꽃들이 모여서 전체적으로 풍성하고 부드러운  꽃 덤불로 보이게 합니다. 꽃 모양이 소박해서 조용한 분위기를 주며 초봄의 꽃들이 한 물 간 후 늦은 봄에 피는 공조팝나무에 대해 알아봅니다. 공조팝나무(Spiraea cantoniensis Lour)란? 수 많은 조팝나무속의 한 종으로 공조팝나무는 장미과에 속한 낙엽성 관목입니다. 학명은 Spiraea prunifolia 로, ‘스피라에아’는 고대 라틴어로 나선형을 뜻하는 말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중국에서는 共小泡木이라하며 이름은 이 나무의 가지가 둥그스름하게 말려 덤불을 이루는 모습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공조팝’이라고 부르는데 , 봄철에 잎이 올라오는 동시에 혹은 약간 먼저 피는 꽃봉오리가 작은 흰 꽃이 모여 큰 꽃봉오리처럼 보이는 특징을 가진 꽃입니다. 공조팝나무,共小泡木, Spiraea cantoniensis,공조팝나무꽃 ,공조팝나무개략 공조팝나무(Spiraea cantoniensis)의 생태

HBM3 vs HBM3E: 기술의 진화, 산업의 전쟁(시리즈 2)

이미지
HBM3 vs HBM3E: 기술의 진화, 산업의 전쟁[시리즈 2]  1탄에서 HBM(High Bandwidth Memory: 고 대역폭 메모리)의 개념과 수요 전망을 조명했습니다. 이번 2탄에서는 그 흐름을 이어받아 HBM3와 HBM3E의 기술적 차이, 제조 난이도, 국내 업체 대응, 경제적 효과 등을  살펴봅니다.  이제 HBM은 메모리를 넘어서, AI 시대의 패권을 가르는 핵심 기술 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우리 기업들은 4세대 5세대를 지나 6,7세대로 진화하는 기술적인 도약을 보게 될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면서.. 1. HBM3 vs HBM3E – 속도 차이를 넘어선 구조적 진화 HBM3는 AI 가속기 수요에 힘입어 본격적인 대세로 부상한 제품입니다.  곧이어 등장한 HBM3E는 속도뿐 아니라 발열, 신뢰성, 제조 효율 등 전방위 개선을 이룬 ‘완성형’ HBM 입니다. 제조 공정 편의상  HBM3는  4세대로 말 하며 HBM3E는 5세대로 분류 합니다. 구분 HBM3   HBM3E 대역폭 최대 819 GB/s  최대 1.2 TB/s 속도 6.4~6.8 Gbps/pin  8.0~9.2 Gbps/pin 스택 높이 최대 12Hi  최대 12Hi, 16Hi 시도 중 전력 고속구동 시 발열 부담   전력 효율 및 발열 개선 적용 H100, MI300 등  H200, B100 등 최신 GPU HBM3E는 속도만 ‘더 빠른 HBM3’가 아니라, AI 가속기의 열,신호 안정성을 고려해 설계된 고급형 사양 입니다. HBM3,HBM3E,속도차이,구조적진화,AI반도체, #HBM3양산 #HBM3E양산 주의 : 기술 자료가 아니며 글에 대한 시각적 도우미 표현입니다 2. 기술적 원리 – 대역폭을 키운 방법은?

참오동나무(梧桐) Paulownia tomentosa,Empress tree, Princess tree, Foxglove tree

이미지
참오동나무(Paulownia tomentosa)에 대한 기본 정보 참오동나무는 한자로 梧桐으로 쓰며 영어 이름은 Paulownia tomentosa 또는 Empress tree, Princess tree, Foxglove tree로 불립니다. 학명은 Paulownia tomentosa (Thunb.)입니다. 참오동나무(梧桐)는  落葉喬木- 낙엽교목 즉  꿀풀목 오동나무과의 겨울에 잎이 지는 큰키나무입니다. 🌳  참오동나무의 개요(槪要). 참오동나무(Paulownia tomentosa)는 한국의 전통적인 나무로, 아름다운 꽃과 우수한 목재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어 온 귀한 나무입니다.꽃은 보라색으로 피며 넓은 잎이 특징이며 수목이 자라는 속도가 빠른 나무입니다. 오동나무의 종류는 몇 종류 있지만 여기서는 참오동나무에 대해서 기술합니다.    참오동나무는 원래 한국의 울릉도에 자생하는 종이지만, 현재는 전국적으로 퍼져 있으며 주로 중부와 남부 지역의 산야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수종입니다. 중국과 일본에도 분포하며, 국내에서는 울릉도가 주요 자생지며 원산지입니다. 현재에는 정원수로 심으며 목재는 가벼우며 질감이 우수해서 고급 옷장, 악기등의 재료로 이용됩니다. 참오동나무(Paulownia coreana)는 한국 전통문화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나무로, 다양한 생태적 특성과 유용성이 있어 예로부터 귀하게 여겨졌습니다. 아래에 참오동나무에 관한 전반적인 정보를 정리했습니다. 오동나무 전래 이야기: 예로부터 젊은 부부가 딸을 낳으면 즉시 오동나무를 심었다고 합니다. 그 어린 딸아이가 성장해서 규수가 될 때 즈음에는 심어 놓은 오동나무가 크게 자라서 딸을 시집 보낼 때에 장농을 만들어 줄 수 있게 되었다고 헸습니다.      오동나무,오동나무꽃,참오동나무,오동나무종류,오동꽃,오동나무꽃,Paulownia-coreana  🌳참오동나무,오동나무 종류,생태,원산지,분포지역,꽃말,용도,...

초여름 야생화 - 실레네 플로스-쿠쿨리,가는동자꽃(Ragged robin)

이미지
초여름 야생화 실레네 플로스-쿠쿨리(Silene flos-cuculi),가는동자꽃(Ragged robin). 오월의 야생화  실레네 플로스-쿠쿨리  ➜ 가는동자꽃 초 여름 들판이나 습지에서 볼 수 있는 실레네 플로스-쿠쿨리(Silene flos-cuculi)는 우리말로 가는동자꽃이라 불리는 야생 식물입니다. 이 식물의 꽃은 화려하진 않지만 조금은 어지럽게 갈라진 꽃잎으로 특이한 아름다움이 있습니다. 보는 사람에 따라서 특이한 매력을 느낄 수 있는 꽃입니다. 🌍 가는동자꽃의 개요 및 원산지 실레네 플로스-쿠쿨리는 석죽과(Caryophyll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학명은 Silene flos-cuculi입니다. 영어권에서는 흔히 Ragged-Robin이라 불리며, 이름처럼 꽃잎이 너덜너덜 찢어진 듯한 모양이 특징입니다. 이 식물의 원산지는 유럽이며, 특히 습한 초지나 하천 주변, 습지 같은 곳에서 자생하였습니다. 현재는 유럽 전역은 물론 아시아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 등지에서도 관상용 또는 귀화식물로 퍼져 있습니다. 초여름 야생화 실레네 플로스-쿠쿨리(Silene flos-cuculi),가는동자꽃(Ragged robin) 🌱  가는동자꽃의 생태 및 생육 환경

AI로부터 얻은 2025년 등장한다는 진인 모습 prophecy

이미지
한국에 등장한다는 인물을 ai로 묘사 해봐:나의말 ChatGPT의 말: 좋습니다. 아래는 2025년에 한국에 등장한다고 예언되는 "구세주적 인물" 혹은 "진인(眞人)"을 상징적으로 AI로 묘사한 이미지 컨셉입니다. 여러 예언에서 공통적으로 나오는 특성들을 조합해, 현대적이면서도 신비롭고 상징적인 분위기로 설정해 보았습니다: 재미로 !  ^^  의외의 모습으로, 진인 같지는 않고 살짝 당황스럽네요. ㅋㅋ ChatGPT 에게 부탁해서 얻은 2025년 등장 할 진인 이미지 ^^ '떻'는 나의 시그널  AI가 묘사한 2025년 등장한다는 진인 모습

AI 시대를 움직이는 메모리, HBM–기술 개요와 수요 전망 (시리즈 제1탄)

이미지
2025년 현재,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은 인공지능(AI) 및 고성능 컴퓨팅(HPC) 수요 증가로 인해 급격한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에서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마이크론 3사가 절대 경쟁자로 치열한 노력이 예상됩니다. "AI 시대를 움직이는 메모리, HBM – 기술 개요와 수요 전망 (시리즈 제1탄)" 이라는 제목으로 진행 할  이 시리즈에서는 인공지능 반도체의 핵심 기술과 시장 흐름을 일반적인 시각으로 분석해보려 합니다. 지금까지의 포스팅은 일상의 평범한 스타일로 포스팅 했지만, 필자의 과거 경력으로 인해 알고 있는 약간의 지식을 토대로 전자,반도체 관련 연속물로 몇 장을 구성해 보려 합니다.  이 분야 씨리즈로 현재 주목되는 기술적 현황을 위주로 말입니다. 본 이미지는 참고 용이며 실제 기술적인 다이어그램이 아닙니다. HBM 메모리 기술 개요와 향후 수요 전망 본 이미지는 참고용이며 실제 기술적인 다이어그램이 아닙니다. HBM 메모리 기술 개요와 향후 수요 전망 (시리즈 제1탄)